2024년 12월 사업체 종사자 증가율, 코로나 이후 최저치 기록
![]() |
2024년 12월 사업체 종사자 수가 예상보다 적게 증가하며, 이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가장 낮은 증가폭을 보인 것입니다. |
2024년 12월 사업체 종사자 수가 예상보다 적게 증가하며, 이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가장 낮은 증가폭을 보인 것입니다. 사업체 종사자 수 증가율이 계속해서 둔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임시 일용근로자와 관련된 지표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원인과 향후 전망을 살펴봅니다.
1. 사업체 종사자 수 증가폭 둔화
2024년 12월 사업체 종사자 수는 2001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8만4000명(0.4%) 증가에 그쳤습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2020년 이후 가장 작은 증가폭으로, 최근 몇 년간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 증가세 둔화의 주요 원인
사업체 종사자 수의 증가가 둔화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인구 구조의 변화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2021년 이후 고용시장 회복이 일시적으로 이뤄졌으나, 2023년과 2024년에는 증가폭이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3. 종사자 지위별 변화
상용근로자는 5만명(0.3%) 증가했으나, 임시 일용근로자는 1만8000명(1%)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상용직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였지만, 임시 일용직은 상대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4. 산업별 고용 변화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은 3.9% 증가했으며, 사업시설관리 및 임대 서비스업도 1.7% 증가했습니다. 반면 건설업은 -5.3%, 도매 및 소매업은 -0.8%로 감소세를 보였으며, 제조업도 증가폭이 제한적이었습니다.
5. 임금 및 근로시간 변화
2024년 11월 기준으로 상용 근로자 1인당 임금 총액은 380만원으로 2.3%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물가를 반영한 실질임금은 332만2000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에 그쳤습니다. 또한, 1인당 월 평균 근로 시간은 159.3시간으로 3.8% 감소했습니다.
2024년 12월 사업체 종사자 수의 증가폭이 코로나19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것은 고용시장의 둔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종사자 수 증가율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낮아질 가능성이 높으며, 고용 시장의 회복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임시 일용직의 감소는 일자리 안정성 문제를 시사하고 있어, 향후 정부와 기업의 대응이 중요한 시점에 와 있습니다.
#사업체종사자 #고용둔화 #고용시장 #상용근로자 #임시일용근로자 #2024고용실태 #고용노동부 #고용변화 #실질임금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