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어딜 풀고, 어디는 못 풀까?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검토 중입니다.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검토 중입니다.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도입된 이 규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집과 땅을 구매하려면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최근에는 실효성 문제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미치는 영향과, 해제가 가능할 지역과 어려운 지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검토

서울시는 압구정, 잠실, 여의도, 성수, 목동 등 주요 지역을 포함한 서울 면적의 10.78%를 규제하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 구역에서는 주택을 일정 규모 이상 구매하려면 2년 실거주 후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했습니다. 주로 갭투자를 차단하고 투기 수요를 막는 역할을 해왔으나, 최근 집값이 안정세에 접어들면서 실효성이 낮아졌다는 판단이 나왔습니다.


효과:

투기 수요 차단

단기적인 집값 하락 유도


한계:

재산권 침해 논란

풍선효과 발생

임차인의 밀려나는 문제


주거지역에서 집을 살 때 대지 지분이 포함되어 6㎡ 이상이면 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대부분의 집들이 이 규제 대상이었습니다. 그간의 규제 효과와 한계를 따져본 후, 서울시는 일부 지역에서 해제를 고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어딜 풀고, 어디는 못 풀까?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검토하면서, ‘행정동’ 단위로 지역별 투자 수요를 분석하고 풀 곳은 풀고 유지할 곳은 유지한다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예상한 해제 가능 지역과 해제하기 어려운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풀 가능성이 높은 지역:

대치1동, 잠실3동: 투기 수요가 적고, 개발이 완료된 지역으로 안정적인 주거지로 평가

잠실2동, 잠실5동: 재건축 단지가 없고, 실수요가 중심인 지역


풀기 어려운 지역:

압구정동: 재건축 단지가 밀집되어 있으며, 투기 수요가 집중된 지역

목동: 재건축 단지가 많고 학군 수요도 큰 지역

여의도동: 재건축이 진행 중인 지역으로 투자 수요가 여전히 강한 곳

성수전략정비구역: 지분 쪼개기 등 투기 우려가 높은 지역


이렇게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해제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나와 무슨 상관?

해제된 구역에 전세로 거주하고 있다면, 실거주 의무 규제 완화로 인해 전세 매물이 늘어나고 보증금이 오를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집을 이미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자산가치 상승이나 임대료 인상 기대가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출 규제 등으로 인해 시장이 바로 뜨겁게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해제’ 후 이 지역이 안정적인 주거지로 자리잡을지, 투기 수요가 몰릴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합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는 서울 부동산 시장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습니다. 해제된 구역에서는 투자 수요와 함께 전세 매물의 변화가 예상되며, 집값이나 임대료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규제 완화가 곧바로 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이라는 보장은 없으므로, 각자의 투자 전략을 세울 때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향후 서울시의 추가 발표와 변화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부동산규제 #서울부동산 #재건축 #부동산전망 #서울시정책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절세계좌 이중과세 논란… ‘한국판 슈드’ 투자자들의 선택은?

급락장에서 꼭 잡아야 하는 6억 원대 이하 단지 10곳

물가 상승에 월급은 ‘찔끔’…근로소득과 물가의 격차, 금융위기 이후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