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의 늪에 빠진 지방 건설업계, 생존을 위한 사투
![]() |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지방 건설업계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지방 건설업계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분양 증가와 공사비 원가 상승, 금융비용 부담으로 인해 부도를 맞거나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업체들이 속출하고 있다. 경쟁적으로 토지를 매입했던 시행사들은 사업 포기를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며, 책임준공 확약을 맺었던 건설사들은 채무 부담까지 떠안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부동산 시장은 큰 변화를 겪고 있다. 금리가 급등하고,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건설업체들의 부담이 커졌다. 수도권과 달리 지방에서는 미분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건설사들이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종합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641건으로, 2005년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올해 역시 1월 한 달간 332건의 폐업 신고가 접수되었으며, 이 중 61%가 지방 건설업체였다.
건설사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책임준공 확약이다. 미분양으로 인해 시행사가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하면, 이를 떠안아야 하는 건설사들이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 경기 지역의 한 물류센터 공사는 임차인을 구하지 못하면서 대출 이자를 상환하지 못했고, 결국 공매로 넘어갔다. 공사를 마친 건설사는 공사비를 회수하지 못해 큰 손실을 봤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형 건설사들도 토지 매입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국내 건설그룹 A사는 2021~2022년 강원과 경기에서 매입했던 토지를 지난해 5월 LH에 반납했다. 이 과정에서 수백억 원에 달하는 계약금을 손해 보더라도, 사업을 진행하는 것보다 포기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었던 것이다.
또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지방 건설사들은 인력을 감축하고 있지만, 결국 법정관리나 부도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다. 지난해부터 신동아건설, 대저건설, 신태양건설, 제일건설 등이 연이어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부도 처리되었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방 건설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단순한 경기 침체 수준이 아니라 생존의 위기”라며 “올해는 버티는 것이 가장 큰 목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단순히 집값 하락의 문제가 아니다. 건설업계, 특히 지방 건설사들에게는 생존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미분양 증가와 금융비용 부담 속에서 많은 업체들이 폐업과 법정관리의 기로에 서 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책뿐만 아니라 건설사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새로운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