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남성 보험료 32% 인상?” 무·저해지 보험, 4월부터 줄줄이 인상
![]() |
4월부터 무·저해지 보험 상품의 보험료가 크게 인상되기 시작했습니다. |
✨
4월부터 무·저해지 보험 상품의 보험료가 크게 인상되기 시작했습니다. 일부 보험사에서는 40대 남성 기준 보험료가 32% 넘게 오르기도 했죠. 이처럼 보험료 인상이 줄줄이 이어지는 배경에는 금융당국의 새로운 가이드라인과 회계기준 변화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무·저해지 보험이란 무엇인지, 왜 보험료가 올랐는지, 앞으로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지 살펴봅니다.
📖
1. 무·저해지 보험이란?
무·저해지 보험은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신, 납입 기간 중 해지 시 환급금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보험상품입니다. 보험사 입장에선 계약자가 중도 해지하지 않을 것을 전제로 보험료를 낮추는 것이고, 소비자 입장에선 같은 보장을 더 싸게 가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하지만 중간에 해지하거나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은 상품이기도 합니다.
2. 왜 보험료가 인상됐을까?
이번 보험료 인상의 핵심 배경은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 적용입니다.
새로운 보험회계기준(IFRS17) 도입 이후 일부 보험사들이 무·저해지 상품에 대해 해지율을 지나치게 높게 잡아 실적을 좋게 보이게 하는 방식을 사용해왔다는 판단에 따라, 금융당국은 예정 해지율을 더 현실적으로 낮춰 잡도록 지침을 내린 거예요.
이에 따라 보험사들은 상품 수익성을 재조정해야 했고, 그 부담이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진 것이죠.
3. 보험사별 인상폭은?
보험료 인상률은 보험사와 상품, 가입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
40대 남성 통합보험 기준
-
KB손해보험: +32.7%
-
삼성화재: +16.9%
-
DB손해보험: +16.0%
-
메리츠화재: +7.7%
-
현대해상: +3.4%
-
-
어린이 보험(10세 기준)
-
남아 기준
-
삼성화재: +27.9%
-
DB손보: +27.7%
-
KB손보: +25.0%
-
-
여아 기준
-
삼성화재: +29.4%
-
DB손보: +27.5%
-
KB손보: +24.9%
-
-
한편 메리츠화재는 일부 여성 보험료를 10% 인하하는 등 다른 전략을 취하기도 했습니다.
🧭 보험, 다시 한 번 꼼꼼히 따져보세요
보험료 인상은 단순한 숫자 변화가 아닌, 가입자에게 실질적인 부담 증가를 의미합니다. 특히 무·저해지 보험처럼 상품 구조가 복잡하고, 해지 환급금이 거의 없는 상품은 더욱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죠.
앞으로 보험에 가입하거나 리모델링을 계획 중이라면,
-
보험료 변동 추이를 확인하고
-
해지 시 불이익을 꼼꼼히 따져보고
-
자신의 보장 니즈에 맞는 상품인지 재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험은 단기적 혜택이 아닌, 장기적인 안정과 보장을 위한 선택이라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