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폭락, 오늘도 계속될까?
![]() |
미국 증시 폭락의 충격이 아시아 증시를 강타하며 코스피와 일본 닛케이 지수가 급락했습니다. |
📝
미국 증시 폭락의 충격이 아시아 증시를 강타하며 코스피와 일본 닛케이 지수가 급락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코스피 하락의 원인을 살펴보고, 현재 상황이 어디로 흘러갈지 전망해봅니다.
🔻 1. 미국 증시 1경 원 증발의 여파
7일, 코스피는 장중 5% 이상 하락하며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습니다. 일본 닛케이지수도 8% 넘게 떨어지며 ‘서킷브레이커’까지 작동했죠.
이러한 급락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 증시에서 약 1경 원이 증발한 데 따른 충격파입니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7’이라 불리는 애플, 아마존 등의 빅테크 주가가 이틀간 약 2,630조 원의 시가총액을 잃으며 투자심리를 얼어붙게 했습니다.
🌏 2. 관세정책이 오히려 중국에 유리한 구조
관세를 올리면 중국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기존 인식과 달리, 실제로는 미국 소비자들이 더 많은 부담을 지게 됩니다. 미국은 중국으로부터 약 600조 원어치의 저렴한 소비재를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관세 인상은 미국 내 물가 상승을 부를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중국이 미국에서 수입하는 품목은 소비재가 아니라 중간재 위주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소비자 충격은 비교적 덜하죠.
결국, 단기적으로는 중국이 유리한 입장에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3. 유가 하락은 경고등
국제유가는 세계 경기 침체 우려 속에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유가 하락을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경기침체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큽니다.
유가가 계속 하락한다면 글로벌 투자심리가 여전히 위축되어 있다는 신호이며, 반대로 유가가 반등한다면 시장이 다시 살아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습니다.
💡 지금은 냉정함이 필요한 시간
지금처럼 시장이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일 땐, 감정적인 매매보다 냉정한 관망이 필요합니다. 단기 차익 실현 외에는 무리한 손절이나 추격매수를 자제하고, 상황을 분석하며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보호무역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향후 유가와 글로벌 협상 기류가 변곡점이 될 수 있습니다.
📌 오늘도 시장을 예의주시하면서, 조급함보다 냉정함을 선택해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