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포된 관세 전쟁: 무력해진 한미 FTA와 흔들리는 수출국의 운명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관세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관세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무역국에 ‘상호관세’라는 명목으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이로 인해 한미 FTA는 사실상 무력화됐고,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위기감에 휩싸였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미국의 이번 관세 조치가 한국과 세계 경제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떤 입장에 처해 있는지를 정리합니다.


📖 

✅ 1. ‘상호관세’? 사실부터 틀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행정명령 부속서에 26%로 명시됐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아요. ‘상호관세’라는 개념 자체가 한국에 적용될 수 없는 이유가 있죠.

한미 FTA 이후 우리나라가 미국에 부과하는 평균 관세율은 0.79%에 불과합니다. 대부분의 품목이 무관세 상태인 상황에서, 트럼프의 주장처럼 50% 관세를 부과한다는 건 사실이 아닙니다. 즉, 미국의 이번 조치는 일방적인 무역 보복이며, FTA라는 무역 질서 자체를 부정한 행위입니다.


✅ 2. ‘탈중국’도 소용없었던 아시아 국가들


한국뿐 아니라 베트남, 대만, 일본 등도 이번 관세의 대상이 됐습니다. 특히 베트남은 각국 기업이 중국을 떠나 몰려든 대표적인 생산기지인데요. 오히려 중국보다 더 높은 관세(46%)를 부과받는 아이러니가 벌어졌습니다.

대만과 일본은 각각 147조 원, 700조 원대의 미국 내 투자를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관세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투자로도 ‘징벌’을 피할 수 없다는 현실이 드러났습니다.


✅ 3. ‘권력 없는 부자’, 한국의 고민


유럽연합 등 일부 국가는 보복 조치를 예고했지만, 우리나라는 그럴 여력이 없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자국 내 소비만으로는 버틸 수 없고, 제품 가격에 대한 결정권도 시장에 있습니다. ‘우리가 팔고 싶을 때, 원하는 가격에 팔 수 없는’ 구조죠.

그나마 다행인 건 이번 조치에서 철강과 자동차는 이중관세를 피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환율이 출렁일 경우, 무역 수익 자체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남아 있습니다.


✅ 

이번 ‘상호관세’ 선언은 단순한 통상 정책을 넘는 강력한 정치적 메시지입니다.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한국처럼 수출에 의존하는 나라는 더욱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한미 FTA가 사실상 무력화되고, 대응할 수단은 한정적인 상황. 이제 필요한 건 냉철한 외교 전략과 다변화된 무역 네트워크, 그리고 긴 호흡의 대응력입니다. 정치 리스크가 경제를 집어삼킬 수 있다는 경고음, 더는 가볍게 넘기면 안 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절세계좌 이중과세 논란… ‘한국판 슈드’ 투자자들의 선택은?

급락장에서 꼭 잡아야 하는 6억 원대 이하 단지 10곳

물가 상승에 월급은 ‘찔끔’…근로소득과 물가의 격차, 금융위기 이후 최대